[ SSAFY 6기 전형 일정 ]

  • 5/14(금) 자소서 마감
  • 5/22(토) SW적성진단
  • 6/1(화) SW적성진단 결과 발표
  • 6/7(월) Interview 일정 공지
  • 6/14(월)-19(금) 면접 진행 - 멀티캠퍼스 역삼에서 응시함
  • 6/28(월) 최종 결과 발표
  • 7/7(수) 싸피 시작

 

[ 자소서 ]

5기에도 지원을 했었는데 자소서 문항은 동일한 것 같습니다.

  1. SW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와 향후 어떤 SW 개발자로 성장하고 싶은지, 이유는 무엇인지 SW 관련 경험(취미, 학습, 사용경험 등)을 토대로 작성 바랍니다. 
  2. 취업을 목표로 했던 활동(회사 입사지원 및 면접 참석, 인턴 및 직무체험, 취업을 위한 학습 및 자격증 취득 등) 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 경험을 기술하고, 이를 통해 배우고 느낀 점 등을 작성해 주시길 바랍니다.

SSAFY는 채용이 아닌 교육기관이기 때문에 코딩을 잘한다 보다는 열심히 하고 배우겠다는 자세를 강조해야 됩니다. 저는 SSAFY의 인재상인 논리적 사고, 열정, 학습의지에 키워드를 녹여 자소서를 작성했습니다. 

 

[ SW 적성진단 - CBT ]

수리/추리영역CT(Computational Thinking)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준비를 하고 싶으시다면 GSAT의 수리/추리 파트를 풀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CT의 경우 기출문제집도 없고 서약서도 작성하기 때문에 자료를 구하기 힘듭니다.

알고리즘잡스 유튜브에 올라온 맛보기 문제 정도 풀어보는 것을 추천드리고 다른 문제집이나 강의를 사서 푸는 건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차라리 알고리즘 공부를 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특히 강의 절대 사지 마세요 돈 버립니다.

 

저는 5기에도 지원했었는데, SW 적성진단을 5기 때보다 못 풀어서 떨어지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었는데 생각과 달리 합격을 했습니다. 때문에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자소서의 비중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 Interview ]

인터뷰를 가서 느낀 건 이래서 개발자 톡에서 모만 물어보면 대외비다 하는지 알 것 같았습니다

보안서약서도 작성하고 여러 번 주의를 주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면접은 CT + PT + 면접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가 면접을 준비했던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리자면 오픈 톡방에서 면접 스터디를 구했습니다. 서로 자소서에서 나올만한 면접 질문을 해주며 피드백을 하고, 면접 기본 질문(1분 자기소개, 지원동기, 성격의 장단점, 나를 뽑아야 하는 이유, 마지막 한마디 등)을 준비했습니다. 면접 경험이 있으신 분이라면 굳이 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은데 면접 경험이 없으신 분들은 혼자 예상 질문을 짜고 준비하는 것보다는 상대방에게 말하면서 준비해보는 것이 더 많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PT면접의 경우에는 스터디원들과 최신 IT 트렌드나 신기술에 대해서 정리하고 주제를 정해 발표하는 연습을 했습니다. 전공자의 경우 주제에 자신의 프로젝트를 잘 녹여내는 연습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전공자입니다.)

SSAFY는 채용면접이 아닌 교육을 위한 면접이기 때문에 교육에 대한 간절함, 이해도를 피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화이티잉

 

[ 결과 ] 

약 이주 동안 결과를 기다리며 약속의 목요일!! 금요일!! 하면서 우리끼리만의 약속을 하다가 월요일에 결과 발표가 났습니다. 결과는 1 지망 서울 합격!! ( 면접스터디를 함께했던 사람들의 반은 합격을 했습니다. )

 

합격 소식을 받고 OT를 기다리는 동안 웰컴 키트가 왔습니다

반팔티와 후드 집업, 웹캠, 에코백, 텀블러 ( 개인적으로 에코백 질이 정말 좋아서 잘 쓰고 다니고 있습니다ㅋㅋㅋ )

Start Camp를 진행하는 동안 추합이 돌게 됩니다. 그러니 떨어지신 분들은 핸드폰 잘 잡고 계시길!

SSAFY 웰컴 키트

 

저는 아쉽지만 약 3주 동안 수업을 듣다가

SSAFY 입과 전 면접 본 곳에 합격 소식을 받아 퇴소를 하게 되었습니다.

3주 동안 교육을 들으면서 느낀 건... 이 커리큘럼을 다 따라간다면 실력이 늘 수밖에 없겠다....ㅋㅋㅋㅋㅋ

 

싸피를 희망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좋겠네요 화이팅!

 

 

 

반응형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면접 유형&꿀팁  (0) 2021.02.05
JavaScript의 기본  (0) 2020.07.13
[Spring] Spring tomcat 오류  (0) 2020.06.18
[Mysql] Mysql 재설치  (0) 2020.06.18
[JSP] JSP 내장객체  (0) 2020.06.16

유형별 문제 풀이 - 기본 정렬 알고리즘 - 02. 핵심 유형 문제풀이

# 10814 나이순 정렬

-> 문제유형 : 정렬

n = int(input())
n_list = []
for i in range(n):
    age, name = list(input().split())
    n_list.append([int(age),name])

n_list.sort(key=lambda x :x[0])
for i in n_list:
    age, name = i
    print(age, name)

 

# 11650 좌표 정렬하기

-> 문제유형 : 정렬

n = int(input())
n_list = []
for i in range(n):
    x,y = list(map(int, input().split()))
    n_list.append((x,y))

n_list.sort(key=lambda x:(x[0],x[1]))
# 파이썬의 기본 정렬 라이브러리는 기본적으로 튜플의 인덱스 순서대로 오름차순 정렬한다
# 때문에 sort()만 해줘도 알아서 x좌표, y좌표 순으로 정렬해줌
# n_list.sort()

for x,y in n_list:
    print(x,y)

 

# 10989 수 정렬하기 3

-> 문제유형 : 정렬

point. 데이터 개수 최대 10,000,000 -> 시간복잡도 O(N)의 정렬 알고리즘 사용 -> 계수 정렬 사용하기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n_list = [0]*10001

for i in range(n):
    n_list[int(input())] +=1

for i in range(10001):
    if n_list[i] !=0:
        for j in range(n_list[i]):
            print(i)
반응형

유형별 문제 풀이 - 기본 정렬 알고리즘 - 기초 문제풀이

# 2750 수 정렬하기 (브론즈1)

-> 문제유형 : 정렬

n = int(input())
n_list = []
for i in range(n):
    n_list.append(int(input()))
n_list.sort()
for i in n_list:
    print(i)

 

# 1427 소트인사이드 (실버5)

-> 문제유형 : 정렬, 배열

n_list = list(map(int, str(input())))
n_list.sort(reverse= True)
for i in n_list:
    print(i,end='')

 

+ 다른 풀이

array = input()
for i in range(9,-1,-1):
    for j in array:
        if int(j) == i:
            print(i,end='')
반응형

유형별 문제 풀이 - 고급 자료구조 - 03. 핵심 유형 문제풀이

# 친구 네트워크 (골드2)

-> 문제유형 : 그래프, 해시, 집합, 유니온 파인드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def FindRoot(x):
    if x == parent[x]:
        return x
    else:
        p = FindRoot(parent[x])
        parent[x] = p
        return parent[x]

def Union(a,b):
    x = FindRoot(a)
    y = FindRoot(b)
    if x != y:
        parent[y] = x
        number[x] += number[y]

tc = int(input())
for _ in range(tc):
    num = int(input())
    parent = {}
    number = {}
    for _ in range(num):
        x,y = list(input().split())
        if x not in parent:
            parent[x] = x
            number[x] = 1
        if y not in parent:
            parent[y] = y
            number[y] = 1
        Union(x,y)
        print(number[FindRoot(x)])

 

# 1920 수 찾기 (실버4)

-> 문제유형 : 해시, 배열, 구현

point. 특정 정수의 등장 여부만을 체크하면 된다면 set이나 dictionary를 사용하라 -> 여기서는 key값만 필요하고 value값은 필요없으니 set으로

n = int(input())
array = set(map(int, input().split()))
m = int(input())
m_list = list(map(int,input().split()))

for i in m_list:
    if i in array:
        print(1)
    else:
        print(0)

※ dictionary : 키와 값을 값는 데이터 구조, 키는 내부적으로 hash 값으로 저장됨

※ set : dictionary에서 key만 활용하는 데이터 구조, 수학에서 집합과 도일한 개념

 

# 10930 SHA-356 (브론즈2)

-> 문제유형 : 해시, 구현

import hashlib
input_data = input()
encoded_data = input_data.encode()
result = hashlib.sha3_256(encoded_data).hexdigest()
print(result)

 

 

반응형

# JadenCase 문자열 만들기

point. 공백이 여러개일 때 처리 주의하기 

def solution(s):
    answer = ''
    flag = True
    
    for i in s:
        if i == " ":
            answer += ' '
            flag = True
        elif flag:
            answer += i.upper()
            flag = False
        else:
            answer += i.lower()

    return answer

 

+ capitalize() 함수 사용하기

 capitalize() : 주어진 문자열의 맨 첫 글자를 대문자로 바꾸는 함수

def solution(s):
    L=s.split(" ")
    answer = ""
    for i in L:
        i= i.capitalize()
        answer+= i+" "
    return answer[:-1]

2021.04.07 - [알고리즘/문법정리] - [파이썬] 문자열 관련 빈출 함수

 

[파이썬] 문자열 관련 빈출 함수

문자열 빈출 함수 문자 개수 세기 : 문자열.count('s') 특정 문자 찾기 : 문자열.find('s') 없으면 -1 리턴 (접두어)특정 문자로 시작하는지 여부 : 문자열.startswith('ho') ( 참고자료 ) (접미어)특정 문자로

jungeun960.tistory.com

 

# N개의 최소공배수

point. (최소공배수) = (두 자연수의 곱) // (최대공약수)

def gcd(a,b):
    if a%b == 0: return b
    else: return gcd(b, (a%b))

def solution(arr):
    answer = 1
    
    for num in arr:
        answer = answer*num // gcd(answer,num)
    return answer

 

+ gcd 함수 사용하기

import math
def solution(arr):
    answer = 1
    for num in arr:
    	answer = answer*num // math.gcd(answer, num)
    return answer

 

# 최댓값과 최솟값

def solution(s):
    answer = ''
    num_list = list(map(int, s.split()))
    num_list.sort()
    answer = str(num_list[0]) + " " + str(num_list[-1])
    return answer

 

# 최솟값 만들기

def solution(A,B):
    answer = 0
    A.sort()
    B.sort(reverse = True)
    for a,b in zip(A,B):
        answer += a*b
    return answer

 

반응형

요즘 자주 가는 아담한 요리주점인 526

4인 테이블 하나와 바 형식으로 총 8명이 앉을 수 있는 아담한 크기입니다

자리가 얼마 없다 보니 자리가 금방 차요ㅠㅠ

전화해보고 가는걸 추천드립니다👍

 

주소 : 서울 노원구 공릉로 112 526

영업시간 : 매일 17:00 ~ 01:00 일요일 휴무

 

메뉴판은 아래와 같습니다. 

메뉴판은 매번 바뀌는거 같아요

저희는 우삼겹 + 대창 마라 전골(2.8)과 가리비 관자 버터구이 샐러드(1.9)를 시켰어요👍

 

 

마라 전골 양이;;;

이렇게 많이 주셔도 되나 싶은 정도로 푸짐해요👍

찐한 마라향에 대존맛 대창.. 우삼겹... 건두부... 배추... 츄륩...

 

테이블을 꽉 채우는 한 메뉴ㅋㅋㅋㅋㅋ

우삼겹 + 대창 마라전골 (2.8)

 

배가 부르긴 한데 조금 아쉬워서 시킨

가리비 관자 버터구이 샐러드

가리비도 완전 신선하고 새우도 완전 통통ㅠㅠㅠ

가리비 관자 버터구이 샐러드 (1.9)

 

+ 이건 저번에 먹은

관서식 모단야끼인데 이것도 진짜 맛있어요👍

먹었던 모든 메뉴들이 맛있었어서 나머지 메뉴도 먹으러 갈 겁니다👍

관서식 모단야끼 (1.8)

 

526 위치

 

526 : 네이버

방문자리뷰 90 · ★4.78 · 매일 17:00 - 01:00,일요일 휴무

m.place.naver.com

 

반응형

# 20058 마법사 상어와 파이어스톰 (골드4)

유형 : 시뮬레이션 문제, DFS

문제

마법사 상어는 파이어볼토네이도를 조합해 파이어스톰을 시전할 수 있다. 오늘은 파이어스톰을 크기가 2N × 2N인 격자로 나누어진 얼음판에서 연습하려고 한다. 위치 (r, c)는 격자의 r행 c열을 의미하고, A[r][c]는 (r, c)에 있는 얼음의 양을 의미한다. A[r][c]가 0인 경우 얼음이 없는 것이다.

파이어스톰을 시전하려면 시전할 때마다 단계 L을 결정해야 한다. 파이어스톰은 먼저 격자를 2L × 2L 크기의 부분 격자로 나눈다. 그 후, 모든 부분 격자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이후 얼음이 있는 칸 3개 또는 그 이상과 인접해있지 않은 칸은 얼음의 양이 1 줄어든다. (r, c)와 인접한 칸은 (r-1, c), (r+1, c), (r, c-1), (r, c+1)이다. 아래 그림의 칸에 적힌 정수는 칸을 구분하기 위해 적은 정수이다.

마법사 상어는 파이어스톰을 총 Q번 시전하려고 한다. 모든 파이어스톰을 시전한 후, 다음 2가지를 구해보자.

  1. 남아있는 얼음 A[r][c]의 합
  2. 남아있는 얼음 중 가장 큰 덩어리가 차지하는 칸의 개수

얼음이 있는 칸이 얼음이 있는 칸과 인접해 있으면, 두 칸을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 덩어리는 연결된 칸의 집합이다.

입력

첫째 줄에 N과 Q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2N개의 줄에는 격자의 각 칸에 있는 얼음의 양이 주어진다. r번째 줄에서 c번째 주어지는 정수는 A[r][c] 이다.

마지막 줄에는 마법사 상어가 시전한 단계 L1, L2, ..., LQ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남아있는 얼음 A[r][c]의 합을 출력하고, 둘째 줄에 가장 큰 덩어리가 차지하는 칸의 개수를 출력한다. 단, 덩어리가 없으면 0을 출력한다.

 

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sys.setrecursionlimit(10 ** 5)
dx = [1,0,-1,0]
dy = [0,1,0,-1]

n, q = map(int, input().split())
n = 2 ** n
ice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 회전 확인해보기
# count = 1
# ice = [[0]*(n) for i in range(n)]
# for i in range(n):
#     for j in range(n):
#         ice[i][j] = count
#         count+=1
# print(ice)

for L in list(map(int, input().split())):
    # 회전
    k = 2 ** L
    for x in range(0, n, k):
        for y in range(0, n, k):
            tmp = []
            for i in range(x, x + k):
                tmp.append(ice[i][y:y + k])
            # print(tmp)
            # tmp = [ice[i][y:y + k] for i in range(x, x + k)]
            for i in range(k):
                for j in range(k):
                    ice[x + j][y + k - 1 - i] = tmp[i][j]
    # print(ice)

    # 인접 얼음 카운팅
    cnt = [[0]*n for i in range(n)]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for d in range(4):
                nx = i+ dx[d]
                ny = j+ dy[d]
                if 0<= nx < n and 0<= ny < n and ice[nx][ny] > 0:
                    cnt[i][j] +=1

    # 얼음 제거
    for x in range(n):
        for y in range(n):
            if ice[x][y] >0 and cnt[x][y] <3:
                ice[x][y] -= 1

# print(ice)
print(sum(sum(i) for i in ice))

# (x,y)가 속한 덩어리의 크기
def dfs(x, y):
    global ans
    ret = 1
    ice[x][y] = 0
    for d in range(4):
        nx = x + dx[d]
        ny = y + dy[d]
        if 0 <= nx < n and 0 <= ny < n and ice[nx][ny]:
            ret += dfs(nx, ny)
    ans = max(ans,ret)
    return ret

# 제일 큰 덩어리
ans = 0
for x in range(n):
    for y in range(n):
        if ice[x][y] > 0:
            dfs(x, y)

print(ans)

참고

반응형

# 21608 상어 초등학교 (실버1)

유형 : 시뮬레이션 문제

문제

상어 초등학교에는 교실이 하나 있고, 교실은 N×N 크기의 격자로 나타낼 수 있다. 학교에 다니는 학생의 수는 N2명이다. 오늘은 모든 학생의 자리를 정하는 날이다. 학생은 1번부터 N2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고, (r, c)는 r행 c열을 의미한다. 교실의 가장 왼쪽 윗 칸은 (1, 1)이고, 가장 오른쪽 아랫 칸은 (N, N)이다.

선생님은 학생의 순서를 정했고, 각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 4명도 모두 조사했다. 이제 다음과 같은 규칙을 이용해 정해진 순서대로 학생의 자리를 정하려고 한다. 한 칸에는 학생 한 명의 자리만 있을 수 있고, |r1 - r2| + |c1 - c2| = 1을 만족하는 두 칸이 (r1, c1)과 (r2, c2)를 인접하다고 한다.

  1. 비어있는 칸 중에서 좋아하는 학생이 인접한 칸에 가장 많은 칸으로 자리를 정한다.
  2. 1을 만족하는 칸이 여러 개이면, 인접한 칸 중에서 비어있는 칸이 가장 많은 칸으로 자리를 정한다.
  3. 2를 만족하는 칸도 여러 개인 경우에는 행의 번호가 가장 작은 칸으로, 그러한 칸도 여러 개이면 열의 번호가 가장 작은 칸으로 자리를 정한다.

예를 들어, N = 3이고, 학생 N2명의 순서와 각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이 다음과 같은 경우를 생각해보자.

학생의 번호좋아하는 학생의 번호

4 2, 5, 1, 7
3 1, 9, 4, 5
9 8, 1, 2, 3
8 1, 9, 3, 4
7 2, 3, 4, 8
1 9, 2, 5, 7
6 5, 2, 3, 4
5 1, 9, 2, 8
2 9, 3, 1, 4

가장 먼저, 4번 학생의 자리를 정해야 한다. 현재 교실의 모든 칸은 빈 칸이다. 2번 조건에 의해 인접한 칸 중에서 비어있는 칸이 가장 많은 칸인 (2, 2)이 4번 학생의 자리가 된다.

     
  4  
     

다음 학생은 3번이다. 1번 조건을 만족하는 칸은 (1, 2), (2, 1), (2, 3), (3, 2) 이다. 이 칸은 모두 비어있는 인접한 칸이 2개이다. 따라서, 3번 조건에 의해 (1, 2)가 3번 학생의 자리가 된다.

  3  
  4  
     

다음은 9번 학생이다. 9번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의 번호는 8, 1, 2, 3이고, 이 중에 3은 자리에 앉아있다. 좋아하는 학생이 가장 많이 인접한 칸은 (1, 1), (1, 3)이다. 두 칸 모두 비어있는 인접한 칸이 1개이고, 행의 번호도 1이다. 따라서, 3번 조건에 의해 (1, 1)이 9번 학생의 자리가 된다.

9 3  
  4  
     

이번에 자리를 정할 학생은 8번 학생이다. (2, 1)이 8번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과 가장 많이 인접한 칸이기 때문에, 여기가 그 학생의 자리이다.

9 3  
8 4  
     

7번 학생의 자리를 정해보자. 1번 조건을 만족하는 칸은 (1, 3), (2, 3), (3, 1), (3, 2)로 총 4개가 있고, 비어있는 칸과 가장 많이 인접한 칸은 (2, 3), (3, 2)이다. 행의 번호가 작은 (2, 3)이 7번 학생의 자리가 된다.

9 3  
8 4 7
     

이런식으로 학생의 자리를 모두 정하면 다음과 같다.

9 3 2
8 4 7
5 6 1

이제 학생의 만족도를 구해야 한다. 학생의 만족도는 자리 배치가 모두 끝난 후에 구할 수 있다. 학생의 만족도를 구하려면 그 학생과 인접한 칸에 앉은 좋아하는 학생의 수를 구해야 한다. 그 값이 0이면 학생의 만족도는 0, 1이면 1, 2이면 10, 3이면 100, 4이면 1000이다.

학생의 만족도의 총 합을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2개의 줄에 학생의 번호와 그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 4명의 번호가 한 줄에 하나씩 선생님이 자리를 정할 순서대로 주어진다.

학생의 번호는 중복되지 않으며, 어떤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 4명은 모두 다른 학생으로 이루어져 있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학생의 번호, 좋아하는 학생의 번호는 N2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어떤 학생이 자기 자신을 좋아하는 경우는 없다.

출력

첫째 줄에 학생의 만족도의 총 합을 출력한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 인접 위치 방향
dx = [0,-1,0,1]
dy = [-1,0,1,0]

N = int(input())
array = [[0] * N for _ in range(N)]
likedict = {}
answer = 0

for _ in range(N * N):
    s_list = list(map(int, input().split()))
    likedict[s_list[0]] = s_list[1:]
    s_num = s_list[0]
    max_x = 0
    max_y = 0
    max_like = -1
    max_empty = -1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likecnt = 0
            emptycnt = 0
            if array[i][j] == 0:
                likecnt = 0
                emptycnt = 0
                # 인접칸 돌면서 좋아하는 학생 수와 비어있는 칸 세기
                for k in range(4):
                    nx = i + dx[k]
                    ny = j + dy[k]
                    if 0 <= nx < N and 0 <= ny < N:
                        if array[nx][ny] in likedict[s_num]:
                            likecnt += 1
                        if array[nx][ny] == 0:
                            emptycnt += 1

                # 1) 좋아하는 학생의 수가 더 많거나
                # 2) 좋아하는 학생의 수는 같지만 비어있는 칸이 더 많은 자리일 경우 좌표 수정
                # 3) 포문이 차례대로 돌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행 번호가 가장 작은 칸이, 칸도 여러개이면 열 번호가 가장 작은 칸이 채택됨
                if max_like < likecnt or (max_like == likecnt and max_empty < emptycnt):
                    max_x = i
                    max_y = j
                    max_like = likecnt
                    max_empty = emptycnt

    array[max_x][max_y] = s_num

# 만족도 조사하기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cnt = 0
        for k in range(4):
            nx = i + dx[k]
            ny = j + dy[k]
            if 0 <= nx < N and 0 <= ny < N:
                if array[nx][ny] in likedict[array[i][j]]:
                    cnt += 1
        if cnt != 0:
            answer += 10 ** (cnt - 1)

print(answe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