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 = int(input())
n_list = []
for i in range(n):
age, name = list(input().split())
n_list.append([int(age),name])
n_list.sort(key=lambda x :x[0])
for i in n_list:
age, name = i
print(age, name)
n = int(input())
n_list = []
for i in range(n):
x,y = list(map(int, input().split()))
n_list.append((x,y))
n_list.sort(key=lambda x:(x[0],x[1]))
# 파이썬의 기본 정렬 라이브러리는 기본적으로 튜플의 인덱스 순서대로 오름차순 정렬한다
# 때문에 sort()만 해줘도 알아서 x좌표, y좌표 순으로 정렬해줌
# n_list.sort()
for x,y in n_list:
print(x,y)
point. 데이터 개수 최대10,000,000 -> 시간복잡도 O(N)의 정렬 알고리즘 사용 -> 계수 정렬 사용하기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n_list = [0]*10001
for i in range(n):
n_list[int(input())] +=1
for i in range(10001):
if n_list[i] !=0:
for j in range(n_list[i]):
print(i)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def FindRoot(x):
if x == parent[x]:
return x
else:
p = FindRoot(parent[x])
parent[x] = p
return parent[x]
def Union(a,b):
x = FindRoot(a)
y = FindRoot(b)
if x != y:
parent[y] = x
number[x] += number[y]
tc = int(input())
for _ in range(tc):
num = int(input())
parent = {}
number = {}
for _ in range(num):
x,y = list(input().split())
if x not in parent:
parent[x] = x
number[x] = 1
if y not in parent:
parent[y] = y
number[y] = 1
Union(x,y)
print(number[FindRoot(x)])
point.특정 정수의 등장 여부만을 체크하면 된다면 set이나 dictionary를 사용하라 -> 여기서는 key값만 필요하고 value값은 필요없으니 set으로
n = int(input())
array = set(map(int, input().split()))
m = int(input())
m_list = list(map(int,input().split()))
for i in m_list:
if i in array:
print(1)
else:
print(0)
※ dictionary : 키와 값을 값는 데이터 구조, 키는 내부적으로 hash 값으로 저장됨
※ set : dictionary에서 key만 활용하는 데이터 구조, 수학에서 집합과 도일한 개념
def solution(s):
answer = ''
flag = True
for i in s:
if i == " ":
answer += ' '
flag = True
elif flag:
answer += i.upper()
flag = False
else:
answer += i.lower()
return answer
+ capitalize() 함수 사용하기
capitalize() : 주어진 문자열의 맨 첫 글자를 대문자로 바꾸는 함수
def solution(s):
L=s.split(" ")
answer = ""
for i in L:
i= i.capitalize()
answer+= i+" "
return answer[:-1]
마법사 상어는 파이어볼과 토네이도를 조합해 파이어스톰을 시전할 수 있다. 오늘은 파이어스톰을 크기가 2N × 2N인 격자로 나누어진 얼음판에서 연습하려고 한다. 위치 (r, c)는 격자의 r행 c열을 의미하고, A[r][c]는 (r, c)에 있는 얼음의 양을 의미한다. A[r][c]가 0인 경우 얼음이 없는 것이다.
파이어스톰을 시전하려면 시전할 때마다 단계 L을 결정해야 한다. 파이어스톰은 먼저 격자를 2L × 2L 크기의 부분 격자로 나눈다. 그 후, 모든 부분 격자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이후 얼음이 있는 칸 3개 또는 그 이상과 인접해있지 않은 칸은 얼음의 양이 1 줄어든다. (r, c)와 인접한 칸은 (r-1, c), (r+1, c), (r, c-1), (r, c+1)이다. 아래 그림의 칸에 적힌 정수는 칸을 구분하기 위해 적은 정수이다.
마법사 상어는 파이어스톰을 총 Q번 시전하려고 한다. 모든 파이어스톰을 시전한 후, 다음 2가지를 구해보자.
남아있는 얼음 A[r][c]의 합
남아있는 얼음 중 가장 큰 덩어리가 차지하는 칸의 개수
얼음이 있는 칸이 얼음이 있는 칸과 인접해 있으면, 두 칸을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 덩어리는 연결된 칸의 집합이다.
입력
첫째 줄에 N과 Q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2N개의 줄에는 격자의 각 칸에 있는 얼음의 양이 주어진다. r번째 줄에서 c번째 주어지는 정수는 A[r][c] 이다.
마지막 줄에는 마법사 상어가 시전한 단계 L1, L2, ..., LQ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남아있는 얼음 A[r][c]의 합을 출력하고, 둘째 줄에 가장 큰 덩어리가 차지하는 칸의 개수를 출력한다. 단, 덩어리가 없으면 0을 출력한다.
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sys.setrecursionlimit(10 ** 5)
dx = [1,0,-1,0]
dy = [0,1,0,-1]
n, q = map(int, input().split())
n = 2 ** n
ice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 회전 확인해보기
# count = 1
# ice = [[0]*(n) for i in range(n)]
# for i in range(n):
# for j in range(n):
# ice[i][j] = count
# count+=1
# print(ice)
for L in list(map(int, input().split())):
# 회전
k = 2 ** L
for x in range(0, n, k):
for y in range(0, n, k):
tmp = []
for i in range(x, x + k):
tmp.append(ice[i][y:y + k])
# print(tmp)
# tmp = [ice[i][y:y + k] for i in range(x, x + k)]
for i in range(k):
for j in range(k):
ice[x + j][y + k - 1 - i] = tmp[i][j]
# print(ice)
# 인접 얼음 카운팅
cnt = [[0]*n for i in range(n)]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for d in range(4):
nx = i+ dx[d]
ny = j+ dy[d]
if 0<= nx < n and 0<= ny < n and ice[nx][ny] > 0:
cnt[i][j] +=1
# 얼음 제거
for x in range(n):
for y in range(n):
if ice[x][y] >0 and cnt[x][y] <3:
ice[x][y] -= 1
# print(ice)
print(sum(sum(i) for i in ice))
# (x,y)가 속한 덩어리의 크기
def dfs(x, y):
global ans
ret = 1
ice[x][y] = 0
for d in range(4):
nx = x + dx[d]
ny = y + dy[d]
if 0 <= nx < n and 0 <= ny < n and ice[nx][ny]:
ret += dfs(nx, ny)
ans = max(ans,ret)
return ret
# 제일 큰 덩어리
ans = 0
for x in range(n):
for y in range(n):
if ice[x][y] > 0:
dfs(x, y)
print(ans)
상어 초등학교에는 교실이 하나 있고, 교실은 N×N 크기의 격자로 나타낼 수 있다. 학교에 다니는 학생의 수는 N2명이다. 오늘은 모든 학생의 자리를 정하는 날이다. 학생은 1번부터 N2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고, (r, c)는 r행 c열을 의미한다. 교실의 가장 왼쪽 윗 칸은 (1, 1)이고, 가장 오른쪽 아랫 칸은 (N, N)이다.
선생님은 학생의 순서를 정했고, 각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 4명도 모두 조사했다. 이제 다음과 같은 규칙을 이용해 정해진 순서대로 학생의 자리를 정하려고 한다. 한 칸에는 학생 한 명의 자리만 있을 수 있고, |r1- r2| + |c1- c2| = 1을 만족하는 두 칸이 (r1, c1)과 (r2, c2)를 인접하다고 한다.
비어있는 칸 중에서 좋아하는 학생이 인접한 칸에 가장 많은 칸으로 자리를 정한다.
1을 만족하는 칸이 여러 개이면, 인접한 칸 중에서 비어있는 칸이 가장 많은 칸으로 자리를 정한다.
2를 만족하는 칸도 여러 개인 경우에는 행의 번호가 가장 작은 칸으로, 그러한 칸도 여러 개이면 열의 번호가 가장 작은 칸으로 자리를 정한다.
예를 들어, N = 3이고, 학생 N2명의 순서와 각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이 다음과 같은 경우를 생각해보자.
학생의 번호좋아하는 학생의 번호
4
2, 5, 1, 7
3
1, 9, 4, 5
9
8, 1, 2, 3
8
1, 9, 3, 4
7
2, 3, 4, 8
1
9, 2, 5, 7
6
5, 2, 3, 4
5
1, 9, 2, 8
2
9, 3, 1, 4
가장 먼저, 4번 학생의 자리를 정해야 한다. 현재 교실의 모든 칸은 빈 칸이다. 2번 조건에 의해 인접한 칸 중에서 비어있는 칸이 가장 많은 칸인 (2, 2)이 4번 학생의 자리가 된다.
4
다음 학생은 3번이다. 1번 조건을 만족하는 칸은 (1, 2), (2, 1), (2, 3), (3, 2) 이다. 이 칸은 모두 비어있는 인접한 칸이 2개이다. 따라서, 3번 조건에 의해 (1, 2)가 3번 학생의 자리가 된다.
3
4
다음은 9번 학생이다. 9번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의 번호는 8, 1, 2, 3이고, 이 중에 3은 자리에 앉아있다. 좋아하는 학생이 가장 많이 인접한 칸은 (1, 1), (1, 3)이다. 두 칸 모두 비어있는 인접한 칸이 1개이고, 행의 번호도 1이다. 따라서, 3번 조건에 의해 (1, 1)이 9번 학생의 자리가 된다.
9
3
4
이번에 자리를 정할 학생은 8번 학생이다. (2, 1)이 8번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과 가장 많이 인접한 칸이기 때문에, 여기가 그 학생의 자리이다.
9
3
8
4
7번 학생의 자리를 정해보자. 1번 조건을 만족하는 칸은 (1, 3), (2, 3), (3, 1), (3, 2)로 총 4개가 있고, 비어있는 칸과 가장 많이 인접한 칸은 (2, 3), (3, 2)이다. 행의 번호가 작은 (2, 3)이 7번 학생의 자리가 된다.
9
3
8
4
7
이런식으로 학생의 자리를 모두 정하면 다음과 같다.
9
3
2
8
4
7
5
6
1
이제 학생의 만족도를 구해야 한다. 학생의 만족도는 자리 배치가 모두 끝난 후에 구할 수 있다. 학생의 만족도를 구하려면 그 학생과 인접한 칸에 앉은 좋아하는 학생의 수를 구해야 한다. 그 값이 0이면 학생의 만족도는 0, 1이면 1, 2이면 10, 3이면 100, 4이면 1000이다.
학생의 만족도의 총 합을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2개의 줄에 학생의 번호와 그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 4명의 번호가 한 줄에 하나씩 선생님이 자리를 정할 순서대로 주어진다.
학생의 번호는 중복되지 않으며, 어떤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 4명은 모두 다른 학생으로 이루어져 있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학생의 번호, 좋아하는 학생의 번호는 N2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어떤 학생이 자기 자신을 좋아하는 경우는 없다.
출력
첫째 줄에 학생의 만족도의 총 합을 출력한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 인접 위치 방향
dx = [0,-1,0,1]
dy = [-1,0,1,0]
N = int(input())
array = [[0] * N for _ in range(N)]
likedict = {}
answer = 0
for _ in range(N * N):
s_list = list(map(int, input().split()))
likedict[s_list[0]] = s_list[1:]
s_num = s_list[0]
max_x = 0
max_y = 0
max_like = -1
max_empty = -1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likecnt = 0
emptycnt = 0
if array[i][j] == 0:
likecnt = 0
emptycnt = 0
# 인접칸 돌면서 좋아하는 학생 수와 비어있는 칸 세기
for k in range(4):
nx = i + dx[k]
ny = j + dy[k]
if 0 <= nx < N and 0 <= ny < N:
if array[nx][ny] in likedict[s_num]:
likecnt += 1
if array[nx][ny] == 0:
emptycnt += 1
# 1) 좋아하는 학생의 수가 더 많거나
# 2) 좋아하는 학생의 수는 같지만 비어있는 칸이 더 많은 자리일 경우 좌표 수정
# 3) 포문이 차례대로 돌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행 번호가 가장 작은 칸이, 칸도 여러개이면 열 번호가 가장 작은 칸이 채택됨
if max_like < likecnt or (max_like == likecnt and max_empty < emptycnt):
max_x = i
max_y = j
max_like = likecnt
max_empty = emptycnt
array[max_x][max_y] = s_num
# 만족도 조사하기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cnt = 0
for k in range(4):
nx = i + dx[k]
ny = j + dy[k]
if 0 <= nx < N and 0 <= ny < N:
if array[nx][ny] in likedict[array[i][j]]:
cnt += 1
if cnt != 0:
answer += 10 ** (cnt - 1)
print(answer)
마법사 상어가 토네이도를 배웠고, 오늘은 토네이도를 크기가 N×N인 격자로 나누어진 모래밭에서 연습하려고 한다. 위치 (r, c)는 격자의 r행 c열을 의미하고, A[r][c]는 (r, c)에 있는 모래의 양을 의미한다.
토네이도를 시전하면 격자의 가운데 칸부터 토네이도의 이동이 시작된다. 토네이도는 한 번에 한 칸 이동한다. 다음은 N = 7인 경우 토네이도의 이동이다.
토네이도가 한 칸 이동할 때마다 모래는 다음과 같이 일정한 비율로 흩날리게 된다.
토네이도가 x에서 y로 이동하면, y의 모든 모래가 비율과 α가 적혀있는 칸으로 이동한다. 비율이 적혀있는 칸으로 이동하는 모래의 양은 y에 있는 모래의 해당 비율만큼이고, 계산에서 소수점 아래는 버린다. α로 이동하는 모래의 양은 비율이 적혀있는 칸으로 이동하지 않은 남은 모래의 양과 같다. 모래가 이미 있는 칸으로 모래가 이동하면, 모래의 양은 더해진다. 위의 그림은 토네이도가 왼쪽으로 이동할 때이고,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위의 그림을 해당 방향으로 회전하면 된다.
토네이도는 (1, 1)까지 이동한 뒤 소멸한다. 모래가 격자의 밖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토네이도가 소멸되었을 때, 격자의 밖으로 나간 모래의 양을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격자의 크기 N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격자의 각 칸에 있는 모래가 주어진다. r번째 줄에서 c번째 주어지는 정수는 A[r][c] 이다.
출력
격자의 밖으로 나간 모래의 양을 출력한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 방향 왼쪽, 아래, 오른쪽, 위
dx = [0,1,0,-1]
dy = [-1,0,1,0]
# 각 방향에 따른 비율
left = [[0,0,2,0,0],[0,10,7,1,0],[5,'a',0,0,0],[0,10,7,1,0],[0,0,2,0,0]]
down = [[0,0,0,0,0],[0,1,0,1,0], [2,7,0,7,2], [0,10,'a',10,0], [0,0,5,0,0]]
right = [[0,0,2,0,0],[0,1,7,10,0],[0,0,0,'a',5],[0,1,7,10,0],[0,0,2,0,0]]
up = [[0,0,5,0,0],[0,10,'a',10,0],[2,7,0,7,2],[0,1,0,1,0],[0,0,0,0,0]]
# d방향으로 cnt 만큼 반복하며 이동
def move(cnt, d, rate):
global answer
global x,y
global array
for _ in range(cnt+1):
# 이동한 위치
x += dx[d]
y += dy[d]
a_loca = [] # a의 좌표값 저장
temp = 0 # 흩어진 모래의 총값
# x,y좌표를 rate 배열 좌표 중앙에 존재하도록 이동
a, b = x-2, y-2
# 토네이도는 (1, 1)까지 이동한 뒤 소멸한다
# -> 1행1열에서 소멸한다 -> 좌표값은 (0,0)임
# (0, 0) 지점에 도달하는 경우 종료
if x < 0 or y <0:
# print("break")
break
# 모래 흩어지기
for i in range(5):
for j in range(5):
if rate[i][j] !=0 and rate[i][j] !='a':
if -1< a+i <n and -1< b+j <n: # 격자 안에 존재할 경우
array[a+i][b+j] += array[x][y]*rate[i][j]//100
else: # 격자 밖으로 나갈 경우
answer += array[x][y]*rate[i][j]//100
# a값 구하기 위해 흠어진 모래양 temp에 더해주기
temp += array[x][y]*rate[i][j]//100
elif rate[i][j] =='a': # a 좌표 기억
a_loca = [i,j]
# 흩어지고 남은 모래 처리하기
a_x,a_y = a_loca
if -1< a+a_x < n and -1< b+a_y < n: # 격자 안에 존재할 경우 좌표에 더해줌
array[a+a_x][b+a_y] += array[x][y] -temp
else: # 격자 밖으로 나갈 경우 answer에 더해줌
answer+=array[x][y] -temp
array[x][y] = 0
n = int(input())
array = []
for i in range(n):
array.append(list(map(int, input().split())))
x,y = n//2, n//2 # 처음 시작 좌표
answer = 0 # 격자 밖으로 나간 모래양
# 달팽이 모양으로 돌기
for i in range(n):
if i%2 == 0:
move(i, 0, left)
move(i, 1, down)
else:
move(i, 2, right)
move(i, 3, up)
print(answer)
총 N개의 시험장이 있고, 각각의 시험장마다 응시자들이 있다. i번 시험장에 있는 응시자의 수는 Ai명이다.
감독관은 총감독관과 부감독관으로 두 종류가 있다. 총감독관은 한 시험장에서 감시할 수 있는 응시자의 수가 B명이고, 부감독관은 한 시험장에서 감시할 수 있는 응시자의 수가 C명이다.
각각의 시험장에 총감독관은 오직 1명만 있어야 하고, 부감독관은 여러 명 있어도 된다.
각 시험장마다 응시생들을 모두 감시해야 한다. 이때, 필요한 감독관 수의 최솟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시험장의 개수 N(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각 시험장에 있는 응시자의 수 Ai(1 ≤ Ai≤ 1,000,000)가 주어진다.
셋째 줄에는 B와 C가 주어진다. (1 ≤ B, C ≤ 1,000,000)
출력
각 시험장마다 응시생을 모두 감독하기 위해 필요한 감독관의 최소 수를 출력한다.
import math
n = int(input())
a = list(map(int, input().split()))
b,c = map(int, input().split())
count = 0
for i in a:
i-=b
count+=1
if i>0 :
count+= math.ceil(i/c)
print(count)